Discover오타쿠 대학원생들의 수다[여름방학 특집] 일본의 남성성 수다: 이누야샤에서 카제하야, 리바이까지
[여름방학 특집] 일본의 남성성 수다: 이누야샤에서 카제하야, 리바이까지

[여름방학 특집] 일본의 남성성 수다: 이누야샤에서 카제하야, 리바이까지

Update: 2025-07-15
Share

Description

[스포일러 주의] 이 콘텐츠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타쿠 대학원생들의 본격 애니메이션 수다, 오대수입니다 :)
오늘은 방학 특집으로 사심을 가득담은 일본의 남성성을 중심으로 5화 방송을 준비했어요.
비판도, 응원도 모두 감사히 받아들입니다. 그것을 위한 팟캐스트니까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있다는 걸 잘 알고 있어요.
!!하지만 악의적인 댓글, 무례함엔 채널주도 참지 않긔!!

말씀드릴 것이 몇가지 있어요!
1. 『진격의 거인』이 2013년에 방영된 애니메이션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원작 만화가 2009년부터 연재되기 시작했습니다. 애니메이션은 2013년에 처음 방영되었고요. 초반에는 비교적 인기가 미미했으나, 2010년 말부터 점차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2011년 이후에는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시점이 동일본 대지진(2011)과 맞물려 있는 점은 흥미로운 사회적 배경으로, 물론 작품 자체의 스토리 완성도나 캐릭터의 매력 등 여러 요소들이 인기에 영향을 주었겠지만, 당대의 사회적 분위기와 연결지어 해석해볼 여지도 있다고 생각해 언급해보았습니다.
2. 사무라이 관련 내용을 말씀드리는 과정에서, 우리나라 무관과의 비교가 자칫하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표현으로 들릴 수도 있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의도했던 바는 결코 그런 방향이 아니었고, 단지 개인적으로 머릿속에 그려지고 있던 이미지나 인상 차이를 설명하려다 보니 그런 식으로 전달된 것 같습니다. 혹여 불편하게 느끼셨다면 너그러이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ferences>
Brown, R. (2012). Yasuoka Masahiro’s ‘New Discourse on Bushido Philosophy’: Cultivating the Samurai Spirit and Men of Character for Imperial Japan. Social Science Japan Journal, 16(1), 107–129.
Kincaid, C. (2015, November 1). Gender roles of men in Japanese society. Japan Powered. https://www.japanpowered.com/japan-culture/gender-roles-of-men-in-japanese-society
Koikari, M. (2019). Re-masculinizing the Nation: Gender, Disaster, and the Politics of National Resilience in Post-3.11 Japan. Japan Forum, 31(2), 143–164.
Kosciesza, A. J., & Darling-Wolf, F. (2023). What’s so great about GTO?: Evolving discourses of Japanese masculinity in Great Teacher Onizuka. Television & New Media, 24(8), 929–944. https://doi.org/10.1177/15274764231162890
Mas, T. (n.d.). Otaku and the struggle for imagination in Japan. https://www.iias.asia/the-review/otaku-and-struggle-imagination-japan
Mathew, M. A. (2024). Examining gender representations in the pilot episode of the anime Attack on Titan. Feminist Media Studies, 1–7. https://doi.org/10.1080/14680777.2024.2358091
머어엉. (2024, February 21). 진격의 거인 '리바이 아커만' 50가지 TMI [Video]. YouTube. https://youtu.be/cKEXiGkHuuc
Pal, S. (2024). I'd kill to belong! Comparing Brahmanical, Samurai, and gentleman masculinities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 Journal of Men's Studies, 33(2), 277–301. https://doi.org/10.1177/10608265241282950
Saladin, R. (2017). Herbivore masculinity in media discourse: The Japanese TV drama Ohitorisama. Intersections: Gender & Sexuality in Asia & the Pacific, 41, 1–13.
Sugihara, Y., & Katsurada, E. (2000). Gender-role personality traits in Japanese cultur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4, 309–318.
Woźny, A. (2025). Domesticating the salaryman: Marriage promotion, hybrid masculinity, and the resignification of reproduction in Japan. Men and Masculinities. https://doi.org/10.1177/1097184X251328018
김미영. (2009, May 6). ‘잠’만 자는 신인류, 초식남. 한겨레. https://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24900.html
김시덕. (2012). 문화: 일본의 무사도란 무엇인가? 선비문화, 22, 99–110.
우성범. (2019). 한국 남성의 남자다움은 무엇인가?: 남성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5(3), 203–229.
양이문. (2007). 한·일 양국의 게임문화에 대한 비교연구: 온라인게임(한국), 비디오게임(일본)을 중심으로. 세계화와 디아스포라, 141–158.
Comments 
00:00
00:00
x

0.5x

0.8x

1.0x

1.25x

1.5x

2.0x

3.0x

Sleep Timer

Off

End of Episode

5 Minutes

10 Minutes

15 Minutes

30 Minutes

45 Minutes

60 Minutes

120 Minutes

[여름방학 특집] 일본의 남성성 수다: 이누야샤에서 카제하야, 리바이까지

[여름방학 특집] 일본의 남성성 수다: 이누야샤에서 카제하야, 리바이까지